MBA소식
-
KMU-KIISS, ‘AI실무능력 인증 과정 수료식’ 개최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원장 조윤호)과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회장 임규건)가 지난 23일 인공지능 분야의 실무 인재 양성을 위해 지난 4개월간 진행된 ‘AI실무능력 인증 과정 수료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AI실무능력 인증 과정은 기업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선도할 수 있는 실무 노하우 중심의 인재를 배출하기 위해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과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가 공동으로 개설한 과정으로 데이터사이언스 분야, Vision AI 분야, Conversational AI분야의 산업계 요구에 맞추어 교육 기간 동안 AI프로젝트 완성을 목표로 실무 교육과 모델 구현 등으로 이뤄졌다. 이번 과정에서는 △딥러닝을 이용한 코로나 전후 기간 항공 수요 예측 비교 항공 수요 관련 데이터에 기반하여 다양한 시계열 기반 딥러닝 모델들의 코로나 발생 이전과 이후에 대한 예측 성능을 비교 △다변량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한 암호화폐 가격 예측 가격 변동성이 높은 암호화폐의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반영할 수 있는 정형 변수들을 탐색하고 시계열 특성을 함께 고려한 DeepAR 등의 예측 모델 연구 △딥러닝 기반 시계열 기법을 활용한 유통제품 수요 예측 제품 수명 주기가 짧은 유통 제품의 재고 결품과 과재고 보유를 막기 위해 시간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고 다양한 공변량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계열 기반 딥러닝 모델을 적용 및 비교 등의 3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으며, 수료생들은 현업 멘토의 지도로 각자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프로젝트 성과물에 대한 산학 전문가단의 평가를 받아 인증 자격을 취득하였다. 또한 프로젝트 성과물을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2년 춘계 학술대회 특별 세션에서 발표하며 과정을 마무리 했다. AI실무능력 인증 자격을 취득한 수료생들은 AI기술을 필요로 하는 현업에서 프로젝트 주제를 발굴하고 다수의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가지고 있는 현업 멘토의 지도로 프로젝트를 완성하면서 AI기술 적용에 필요한 실무 역량을 쌓을 수 있었으며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교육과정 동안 축적한 지식과 노하우의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번 과정을 통해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과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는 AI 및 빅데이터 분야의 실무 중심의 핵심인재 양성을 공동 목표로 삼고, 지속적인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조윤호 경영대학원장은 “현업에서 필요로 하는 문제를 직접 해결해본 소중한 경험은 앞으로 실무에서 귀중한 자원으로 사용될 것이며, 배운 지식의 활용 측면에서 새로운 도전을 한 수료생들의 노고와 열정에 박수를 보낸다”고 수료생들을 격려했다. 임규건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장은 “기업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되면서 실무형 인재에 대한 산업계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며 “수료생들이 디지털 혁신을 이끄는 마중물이자 AI분야 실무 영역에서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 내는 핵심 인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KMU-KIISS AI실무능력 인증 과정은 1년에 2차례 모집을 진행하고 있으며 해당 과정의 2022년도 후기 모집은 오는 7월 1일부터 진행될 예정이다. ※ 관련기사 1. 국민대-KIISS, 'AI실무능력 인증 과정' 성료(머니투데이, 2022.06.24.)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62414447463489 2. 국민대 KMU-KIISS, ‘AI실무능력 인증 과정 수료식’ 개최(교수신문, 2022.06.24.)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90477 3. KMU-KIISS 'AI실무능력 인증 과정 수료식' 개최(베리타스알파, 2022.06.24.)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19796
-
[언론보도]디지털마케팅전공 방혜진 주임교수 "삼성, 교보생명 등 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대학 교육도 이에 발맞춰야 할 때"
디지털마케팅전공 방혜진 주임교수님 나스미디어는 최근 발표한 <2022 디지털 미디어 및 마케팅 트렌드 전망>을 통해, 국내 광고 시장이 전년 대비 4% 가량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는 한편, 디지털 광고 시장은 전년대비 8.8% 성장을 기록하며 전체 시장의 약 52% 를 점유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2년간 코로나19로 인해 빠르게 확산된 언택트 문화는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경험하는 방식을 현저히 변화시켰고, 이는 모바일 마케팅, 라이브 커머스, 메타버스와 같은 새로운 디지털 환경 및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성장시키며 전체 디지털 마케팅 시장을 견인했다. 디지털 마케팅 시장의 성장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AI), 클라우드 등의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기반을 두기도 하지만,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재정적 어려움을 겪은 기업들이 마케팅 예산을 삭감하며 “저비용 고효율” 마케팅을 요구함에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디지털 마케팅이 약속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 행동 및 수요 예측’과 ‘측정 가능한 객관적 성과’는 기업의 입장에서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 지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마케팅 산업이 디지털 매체를 중심으로 재편됨에 따라 디지털 마케팅 인력에 대한 수요는 필연적이다. 이에, 서울시, 경기도 등의 지방자치단체뿐 아니라, 국·내외의 기업들 역시 디지털 마케팅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파악하고 관련 교육을 제공하는 등 디지털 전문인재 육성을 위해 힘쓰고 있다. 가령, 삼성의 경우, 삼성금융연수원의 주도하에 최고 수준의 디지털 종합역량을 보유한 내부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올해 4월부터 “삼성금융사 디지털 전략과정” 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과정은 국민대학교 및 투이컨설팅과의 산학협력을 통해 개발된 과정으로 점차 가속화되는 디지털 금융 경쟁에 대비하기 위한 삼성의 노력으로 해석된다. 뿐만 아니라, 교보생명 역시 올 6월부터 시작되는 ‘디지털 전환 번역가'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전 조직원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같이 산업의 추세에 따라 지자체 및 기업 차원에서 디지털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이 계속 되고 있지만, 국내 대학 차원의 교육은 아직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컬럼비아 대학, 코넬 대학, 노스웨스턴 대학 등 여러 해외 유수 대학이 디지털 마케터 양성을 위한 온/오프라인의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국내 대학 차원에서의 디지털 전환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의 디지털로의 전환은 코로나19의 등장과 함께 그 시기가 약 10년가량 앞당겨 졌다고 한다.이에 따라 정부는 디지털 뉴딜 정책을 내놓고, 기업은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박차를 가하고 있는 만큼, 대학 교육 역시 이에 발맞춰 나가기를 기대해 본다. ※ 관련기사 : 조선일보(삼성, 교보생명 등 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대학 교육도 이에 발맞춰야 할 때", 2022.06.03.) https://misaeng.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6/03/2022060302020.html
-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디지털존, 인공지능 분야 공동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주)디지털존(대표이사 전정우)와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원장 조윤호)이 지난 5월 31일 인공지능 분야의 공동 프로젝트 운영과 협조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야의 기술 발전과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 모델/서비스의 개발을 위한 △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야의 공동 프로젝트 수행 △ 국가지원 교육 및 연구 사업의 기획 및 운영 △ 홍보 협조 체계 구축 등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은 국내 최초로 AI와 빅데이터 분야를 다루는 대학원 석사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육기관으로, 그간의 교육 및 연구 노하우에 기반하여 인공지능 분야의 프로젝트의 적용 모델 개발, 연구개발 인력 지원, 신규 프로젝트 기획 등을 담당할 예정이다. (주)디지털존은 전자문서 유통, 보안솔루션, 블록체인 등의 전자문서 및 전략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AI바우처 공급 기업으로 수요기업이 단기간 내에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을 구현하고 서비스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정부 및 국가 산하기관의 교육 및 연구 사업 수행 등에 협조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을 고민하고 있는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AI 모델개발, 서비스화, 현업 인재 양성 방안 등을 논의하며, 상호 발전적인 협력을 약속했다. 조윤호 경영대학원장은 “국민대 경영대학원이 갖추고 있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야 교육체계와 노하우, 그리고 인재를 현장 실무와 공유할 수 있는 기회이다”며 “이번 MOU를 통해 그간의 연구와 기술 노하우를 공유하여 인공지능 기술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정우 (주)디지털존 대표이사는 “양 기관이 상호 유기적인 교류와 연구를 통해 국내 산학연의 모범적인 사례로 자리잡을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분야를 선도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노력을 함께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은 2013년부터 실무형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과정으로 AI빅데이터전공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과정의 2022학년도 후기 신입생 모집 기간은 오는 6월 13일까지이다. ※ 관련기사 1. 조선에듀 : 국민대ㆍ디지털존, AI 분야 공동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MOU 체결(2022.06.02.) http://edu.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6/02/2022060202273.html 2. 에듀동아 :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디지털존, 인공지능 분야 공동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2022.06.02.)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20602180638530144 3. 매일일보 : 국민대 경영대학원, 디지털존과 ‘인공지능 프로젝트 운영’ 협약(2022.06.02.)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924010 4. 한국대학신문 : 국민대-디지털존, 인공지능 분야 협력(2022.06.02.)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29043 5. 베리타스알파 : 국민대 경영대학원-디지털존 인공지능 분야 공동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2022.06.02.)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17019 6. 서울경제TV : 디지털존-국민대학교, 인공지능 분야 공동 프로젝트 MOU 체결(2022.06.02.) https://www.sentv.co.kr/news/view/621247 7. 에너지경제 : 국민대, 디지털존과 인공지능 분야 공동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2022.06.02.)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20602010000321 8. 핀포인트뉴스 :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 디지털존과 인공지능 분야 공동 프로젝트 운영 위해 '맞손'(2022.06.02.) http://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0345 9. 브릿지경제 : 국민대 경영대학원-디지털존, AI 공동 프로젝트 MOU(2022.06.02.) https://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20602010000479
-
경영학전공 중국인 학생 온라인 입학설명회 개최
경영학전공 중국인 학생을 위한 온라인 입학설명회가 지난 2022.05.20.(금) 15:00~16:00에 개최되었습니다. 중국에 거주 중인 분들을 고려하여 zoom을 통해 실시간 소통 형태로 진행하였습니다. 김초월 교수님, 이국성 교수님께서 직접 자세한 설명과 더불어 참여자들과의 실시간 소통까지 진행해 주셨습니다!! 최병구 부원장님, 중국인 재학생 및 졸업생들까지 동영상을 통해 환영 인사를 보내주셔서 더욱 뜻깊은 시간이 되었습니다:-) 경영대학원에 관심있는 중국인 학생들에게 유익한 시간이 되었기를 바라며 참여해주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
국민대 경영대학원-(주) 마인즈랩, 인공지능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MOU 체결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 (원장 조윤호)은 지난 4월 28일 인공지능 서비스 업체인 마인즈랩 (대표이사 유태준)과 인공지능 분야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산학협력을 위한 업무제휴 협약 (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MOU를 통해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인공지능 분야의 산학 협력 교육 공동 기획 및 운영 ▲산학협력 과제 수행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솔루션 및 데이터 제공 ▲인턴십 및 취업 지원 등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협약식에는 마인즈랩의 유태준 대표이사, 오승열 부사장이 참석하였으며 국민대학교는 조윤호 경영대학원장, 최병구 경영대학원 부원장, 권순범 교수가 참석하였다. 이번 MOU에 대해 조윤호 경영대학원장은 "국민대 경영대학원은 국내 최초로 학부(AI빅데이터융합경영학과), 일반대학원 석·박사(데이터사이언스학과), MBA(AI빅데이터전공) 등 모든 학위과정에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교육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나라 인공지능 교육을 선도하고 있다”며 “이번 MOU를 통해 그동안 축적한 교육 노하우와 마인즈랩의 현장 경험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실무에 강한 인공지능 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유태준 마인즈랩 대표이사는 “마인즈랩은 인공지능 핵심 알고리즘, 인공지능 엔진 및 플랫폼, 인공지능 서비스 등 인공지능과 관련된 통합적 가치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우리나라 인공지능 생태계의 형성과 발전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며 “이번 MOU를 통해 그동안 발전시켜 온 인공지능 서비스, 특히 가상(인공) 인간 서비스를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 및 인공지능 서비스의 활용 범위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은 2013년부터 실무형 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MBA 과정으로 'AI빅데이터 전공'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과정의 2022학년도 후기 신입생 모집은 오는 5월 23부터 시작된다. 출처 원문보기 작성일 에듀동아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20503154403808251 2022.05.03 브릿지경제 https://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20503010000794 2022.05.03 베리타스 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13674 2022.05.03 스마트경제 http://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134 2022.05.03
-
2022년 상반기 KCLC(K-Certified Leadership Coach) 합격자 발표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은 리더십과코칭전공에서 주관한 KCLC(K-Certified Leadership Coach) 코칭 인증 자격시험에 8분(강명진님, 김미정님, 김수진님, 심형섭님, 유건우님, 조상철님, 조혜진님, 한우주님)이 합격하셨음을 알려드립니다. !!축하합니다!! * KCLC(K-Certified Leadership Coach)란 국제코치연맹으로부터 ACTP인증을 받은 KLCP과정을 이수하고 실습 시간 등의 조건 충족시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이 부여하는 코치 인증 자격입니다. KCLCP 인증 자격을 취득한 코치는 필요한 코칭 시간을 충족하면 국제코치연맹이 인증하는 코치자격(PCC)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
MBA소식
-
KMU-KIISS, ‘AI실무능력 인증 과정 수료식’ 개최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원장 조윤호)과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회장 임규건)가 지난 23일 인공지능 분야의 실무 인재 양성을 위해 지난 4개월간 진행된 ‘AI실무능력 인증 과정 수료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AI실무능력 인증 과정은 기업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을 선도할 수 있는 실무 노하우 중심의 인재를 배출하기 위해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과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가 공동으로 개설한 과정으로 데이터사이언스 분야, Vision AI 분야, Conversational AI분야의 산업계 요구에 맞추어 교육 기간 동안 AI프로젝트 완성을 목표로 실무 교육과 모델 구현 등으로 이뤄졌다. 이번 과정에서는 △딥러닝을 이용한 코로나 전후 기간 항공 수요 예측 비교 항공 수요 관련 데이터에 기반하여 다양한 시계열 기반 딥러닝 모델들의 코로나 발생 이전과 이후에 대한 예측 성능을 비교 △다변량 시계열 데이터를 이용한 암호화폐 가격 예측 가격 변동성이 높은 암호화폐의 가격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을 반영할 수 있는 정형 변수들을 탐색하고 시계열 특성을 함께 고려한 DeepAR 등의 예측 모델 연구 △딥러닝 기반 시계열 기법을 활용한 유통제품 수요 예측 제품 수명 주기가 짧은 유통 제품의 재고 결품과 과재고 보유를 막기 위해 시간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고 다양한 공변량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시계열 기반 딥러닝 모델을 적용 및 비교 등의 3개 프로젝트가 진행되었으며, 수료생들은 현업 멘토의 지도로 각자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프로젝트 성과물에 대한 산학 전문가단의 평가를 받아 인증 자격을 취득하였다. 또한 프로젝트 성과물을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2년 춘계 학술대회 특별 세션에서 발표하며 과정을 마무리 했다. AI실무능력 인증 자격을 취득한 수료생들은 AI기술을 필요로 하는 현업에서 프로젝트 주제를 발굴하고 다수의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가지고 있는 현업 멘토의 지도로 프로젝트를 완성하면서 AI기술 적용에 필요한 실무 역량을 쌓을 수 있었으며 포트폴리오 구성을 통해 교육과정 동안 축적한 지식과 노하우의 결과물을 만들어 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번 과정을 통해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과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는 AI 및 빅데이터 분야의 실무 중심의 핵심인재 양성을 공동 목표로 삼고, 지속적인 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조윤호 경영대학원장은 “현업에서 필요로 하는 문제를 직접 해결해본 소중한 경험은 앞으로 실무에서 귀중한 자원으로 사용될 것이며, 배운 지식의 활용 측면에서 새로운 도전을 한 수료생들의 노고와 열정에 박수를 보낸다”고 수료생들을 격려했다. 임규건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장은 “기업의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이 가속화되면서 실무형 인재에 대한 산업계의 요구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며 “수료생들이 디지털 혁신을 이끄는 마중물이자 AI분야 실무 영역에서 새로운 변화를 만들어 내는 핵심 인재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KMU-KIISS AI실무능력 인증 과정은 1년에 2차례 모집을 진행하고 있으며 해당 과정의 2022년도 후기 모집은 오는 7월 1일부터 진행될 예정이다. ※ 관련기사 1. 국민대-KIISS, 'AI실무능력 인증 과정' 성료(머니투데이, 2022.06.24.)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062414447463489 2. 국민대 KMU-KIISS, ‘AI실무능력 인증 과정 수료식’ 개최(교수신문, 2022.06.24.) http://www.kyosu.net/news/articleView.html?idxno=90477 3. KMU-KIISS 'AI실무능력 인증 과정 수료식' 개최(베리타스알파, 2022.06.24.)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19796
-
[언론보도]디지털마케팅전공 방혜진 주임교수 "삼성, 교보생명 등 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대학 교육도 이에 발맞춰야 할 때"
디지털마케팅전공 방혜진 주임교수님 나스미디어는 최근 발표한 <2022 디지털 미디어 및 마케팅 트렌드 전망>을 통해, 국내 광고 시장이 전년 대비 4% 가량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는 한편, 디지털 광고 시장은 전년대비 8.8% 성장을 기록하며 전체 시장의 약 52% 를 점유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2년간 코로나19로 인해 빠르게 확산된 언택트 문화는 소비자들이 브랜드를 경험하는 방식을 현저히 변화시켰고, 이는 모바일 마케팅, 라이브 커머스, 메타버스와 같은 새로운 디지털 환경 및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성장시키며 전체 디지털 마케팅 시장을 견인했다. 디지털 마케팅 시장의 성장은 빅데이터, 인공지능 (AI), 클라우드 등의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기반을 두기도 하지만, 코로나19의 여파로 인해 재정적 어려움을 겪은 기업들이 마케팅 예산을 삭감하며 “저비용 고효율” 마케팅을 요구함에 따른 결과이기도 하다. 디지털 마케팅이 약속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고객 행동 및 수요 예측’과 ‘측정 가능한 객관적 성과’는 기업의 입장에서 보다 효율적인 마케팅 지출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마케팅 산업이 디지털 매체를 중심으로 재편됨에 따라 디지털 마케팅 인력에 대한 수요는 필연적이다. 이에, 서울시, 경기도 등의 지방자치단체뿐 아니라, 국·내외의 기업들 역시 디지털 마케팅 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파악하고 관련 교육을 제공하는 등 디지털 전문인재 육성을 위해 힘쓰고 있다. 가령, 삼성의 경우, 삼성금융연수원의 주도하에 최고 수준의 디지털 종합역량을 보유한 내부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해 올해 4월부터 “삼성금융사 디지털 전략과정” 을 제공하고 있다. 해당 과정은 국민대학교 및 투이컨설팅과의 산학협력을 통해 개발된 과정으로 점차 가속화되는 디지털 금융 경쟁에 대비하기 위한 삼성의 노력으로 해석된다. 뿐만 아니라, 교보생명 역시 올 6월부터 시작되는 ‘디지털 전환 번역가'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전 조직원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와 같이 산업의 추세에 따라 지자체 및 기업 차원에서 디지털 전문 인재 양성을 위한 노력이 계속 되고 있지만, 국내 대학 차원의 교육은 아직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컬럼비아 대학, 코넬 대학, 노스웨스턴 대학 등 여러 해외 유수 대학이 디지털 마케터 양성을 위한 온/오프라인의 프로그램을 보유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국내 대학 차원에서의 디지털 전환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기업의 디지털로의 전환은 코로나19의 등장과 함께 그 시기가 약 10년가량 앞당겨 졌다고 한다.이에 따라 정부는 디지털 뉴딜 정책을 내놓고, 기업은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박차를 가하고 있는 만큼, 대학 교육 역시 이에 발맞춰 나가기를 기대해 본다. ※ 관련기사 : 조선일보(삼성, 교보생명 등 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대학 교육도 이에 발맞춰야 할 때", 2022.06.03.) https://misaeng.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6/03/2022060302020.html
-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디지털존, 인공지능 분야 공동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주)디지털존(대표이사 전정우)와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원장 조윤호)이 지난 5월 31일 인공지능 분야의 공동 프로젝트 운영과 협조 체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두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통해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야의 기술 발전과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 모델/서비스의 개발을 위한 △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야의 공동 프로젝트 수행 △ 국가지원 교육 및 연구 사업의 기획 및 운영 △ 홍보 협조 체계 구축 등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은 국내 최초로 AI와 빅데이터 분야를 다루는 대학원 석사과정을 운영하고 있는 교육기관으로, 그간의 교육 및 연구 노하우에 기반하여 인공지능 분야의 프로젝트의 적용 모델 개발, 연구개발 인력 지원, 신규 프로젝트 기획 등을 담당할 예정이다. (주)디지털존은 전자문서 유통, 보안솔루션, 블록체인 등의 전자문서 및 전략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AI바우처 공급 기업으로 수요기업이 단기간 내에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업무 협약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을 구현하고 서비스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정부 및 국가 산하기관의 교육 및 연구 사업 수행 등에 협조할 예정이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인공지능 기술의 도입을 고민하고 있는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AI 모델개발, 서비스화, 현업 인재 양성 방안 등을 논의하며, 상호 발전적인 협력을 약속했다. 조윤호 경영대학원장은 “국민대 경영대학원이 갖추고 있는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야 교육체계와 노하우, 그리고 인재를 현장 실무와 공유할 수 있는 기회이다”며 “이번 MOU를 통해 그간의 연구와 기술 노하우를 공유하여 인공지능 기술 및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정우 (주)디지털존 대표이사는 “양 기관이 상호 유기적인 교류와 연구를 통해 국내 산학연의 모범적인 사례로 자리잡을 수 있으리라 기대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분야를 선도 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의 노력을 함께할 수 있어 기쁘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은 2013년부터 실무형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분야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과정으로 AI빅데이터전공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과정의 2022학년도 후기 신입생 모집 기간은 오는 6월 13일까지이다. ※ 관련기사 1. 조선에듀 : 국민대ㆍ디지털존, AI 분야 공동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MOU 체결(2022.06.02.) http://edu.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6/02/2022060202273.html 2. 에듀동아 :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디지털존, 인공지능 분야 공동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2022.06.02.)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20602180638530144 3. 매일일보 : 국민대 경영대학원, 디지털존과 ‘인공지능 프로젝트 운영’ 협약(2022.06.02.) http://www.m-i.kr/news/articleView.html?idxno=924010 4. 한국대학신문 : 국민대-디지털존, 인공지능 분야 협력(2022.06.02.)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529043 5. 베리타스알파 : 국민대 경영대학원-디지털존 인공지능 분야 공동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2022.06.02.)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17019 6. 서울경제TV : 디지털존-국민대학교, 인공지능 분야 공동 프로젝트 MOU 체결(2022.06.02.) https://www.sentv.co.kr/news/view/621247 7. 에너지경제 : 국민대, 디지털존과 인공지능 분야 공동 프로젝트 운영을 위한 업무 협약 체결(2022.06.02.) https://www.ekn.kr/web/view.php?key=20220602010000321 8. 핀포인트뉴스 :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 디지털존과 인공지능 분야 공동 프로젝트 운영 위해 '맞손'(2022.06.02.) http://www.pinpoin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0345 9. 브릿지경제 : 국민대 경영대학원-디지털존, AI 공동 프로젝트 MOU(2022.06.02.) https://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20602010000479
-
경영학전공 중국인 학생 온라인 입학설명회 개최
경영학전공 중국인 학생을 위한 온라인 입학설명회가 지난 2022.05.20.(금) 15:00~16:00에 개최되었습니다. 중국에 거주 중인 분들을 고려하여 zoom을 통해 실시간 소통 형태로 진행하였습니다. 김초월 교수님, 이국성 교수님께서 직접 자세한 설명과 더불어 참여자들과의 실시간 소통까지 진행해 주셨습니다!! 최병구 부원장님, 중국인 재학생 및 졸업생들까지 동영상을 통해 환영 인사를 보내주셔서 더욱 뜻깊은 시간이 되었습니다:-) 경영대학원에 관심있는 중국인 학생들에게 유익한 시간이 되었기를 바라며 참여해주신 분들께 다시 한 번 감사드립니다(●'◡'●)
-
국민대 경영대학원-(주) 마인즈랩, 인공지능 분야 인재양성을 위한 MOU 체결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 (원장 조윤호)은 지난 4월 28일 인공지능 서비스 업체인 마인즈랩 (대표이사 유태준)과 인공지능 분야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산학협력을 위한 업무제휴 협약 (MOU)을 체결했다. 양 기관은 이번 MOU를 통해 인공지능 분야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 ▲인공지능 분야의 산학 협력 교육 공동 기획 및 운영 ▲산학협력 과제 수행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솔루션 및 데이터 제공 ▲인턴십 및 취업 지원 등에서 상호 협력하기로 했다. 협약식에는 마인즈랩의 유태준 대표이사, 오승열 부사장이 참석하였으며 국민대학교는 조윤호 경영대학원장, 최병구 경영대학원 부원장, 권순범 교수가 참석하였다. 이번 MOU에 대해 조윤호 경영대학원장은 "국민대 경영대학원은 국내 최초로 학부(AI빅데이터융합경영학과), 일반대학원 석·박사(데이터사이언스학과), MBA(AI빅데이터전공) 등 모든 학위과정에 인공지능 및 빅데이터 교육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우리나라 인공지능 교육을 선도하고 있다”며 “이번 MOU를 통해 그동안 축적한 교육 노하우와 마인즈랩의 현장 경험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실무에 강한 인공지능 전문인력을 양성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유태준 마인즈랩 대표이사는 “마인즈랩은 인공지능 핵심 알고리즘, 인공지능 엔진 및 플랫폼, 인공지능 서비스 등 인공지능과 관련된 통합적 가치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우리나라 인공지능 생태계의 형성과 발전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다”며 “이번 MOU를 통해 그동안 발전시켜 온 인공지능 서비스, 특히 가상(인공) 인간 서비스를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 및 인공지능 서비스의 활용 범위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은 2013년부터 실무형 인공지능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MBA 과정으로 'AI빅데이터 전공'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과정의 2022학년도 후기 신입생 모집은 오는 5월 23부터 시작된다. 출처 원문보기 작성일 에듀동아 http://edu.donga.com/?p=article&ps=view&at_no=20220503154403808251 2022.05.03 브릿지경제 https://www.viva100.com/main/view.php?key=20220503010000794 2022.05.03 베리타스 알파 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13674 2022.05.03 스마트경제 http://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134 2022.05.03
-
2022년 상반기 KCLC(K-Certified Leadership Coach) 합격자 발표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은 리더십과코칭전공에서 주관한 KCLC(K-Certified Leadership Coach) 코칭 인증 자격시험에 8분(강명진님, 김미정님, 김수진님, 심형섭님, 유건우님, 조상철님, 조혜진님, 한우주님)이 합격하셨음을 알려드립니다. !!축하합니다!! * KCLC(K-Certified Leadership Coach)란 국제코치연맹으로부터 ACTP인증을 받은 KLCP과정을 이수하고 실습 시간 등의 조건 충족시 국민대학교 경영대학원이 부여하는 코치 인증 자격입니다. KCLCP 인증 자격을 취득한 코치는 필요한 코칭 시간을 충족하면 국제코치연맹이 인증하는 코치자격(PCC)를 취득할 수 있습니다.